Special Report
.
.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올해 20억 원 규모의 애니메이션과 뉴미디어 등 콘텐츠 개발 및 제작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TV시리즈 애니메이션 투자 10억 원,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 지원 5억 원,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지원 3억 원
등이다.
또 올해 신설된 OTT형 콘텐츠 기획안 제작지원 사업에 2억 5,000만 원이 배정됐으며 웹툰 글로벌 제작지원 사업과 인디 · 캐주얼 게임
제작지원 사업에도 각각 1억 원, 3억 원이 지원된다.
다만 추진 일정은 사업별로 다를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 SBA 홈페이지 공고를 잘 살펴야 한다.
.
.
.
<콘텐츠 제작 · 투자 지원>
·사업공고: 4월 중순
·선정심사: 6월
·제작관리: 7∼12월
※ 추진일정은 세부 사업별로 다를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1. 애니프론티어 제작지원
·지원내용: 방송사, 유통사 연계 협력을 통한 TV시리즈 국산 창작 애니메이션에 투자, 방영 및 배급 지원
·지원대상: 서울 소재 중소 애니메이션 제작사
·지원규모: 편당 10∼15억 원 내외, 1편 선정
.
2. 크로스미디어 IP 창작지원(NC소프트 - MBC 협력 공모전)
·지원내용: 웹툰, 영상물 부문 신규 기획 IP 발굴 및 사업화 지원
·지원대상: 창작자(경력 무관)
·지원규모: 편당 1,000∼2,000만 원 차등 지급, 웹툰 · 영상화 2개 부문 총 15편 내외 선정
.
3.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지원
·지원내용: 창작 인력 발굴 및 육성을 위한 단편 · 웹 애니메이션 기획물 제작지원
·지원대상: 대한민국 국적 애니메이션 감독
·지원규모: 편당 3,000만 원, 10편 내외 선정
.
4. 타깃 확장형 애니메이션 기획안 제작지원
·지원내용: OTT 방영을 목표로 한 타깃 확장형 애니메이션 기획안의 초기 개발부터 본편 제작까지 SBA 자원 및민간 자원을 연계한 단계별 제작 · 투자 지원
·지원대상: 서울 소재 중소 콘텐츠 제작사
·지원규모: 총 7억 5,000만 원 내외, 10편 내외 선정 (초기 개발 트랙 총 2억 5,000만 원, 10편 내외 선정 →본편 제작 트랙 총 5억 원, 3편 내외 선정)
.
<콘텐츠 글로벌 마케팅 지원>
·참여대상: 서울 소재 중소 애니메이션, 웹툰, 개인, 1인 미디어등 콘텐츠 기업, 투자사, 방송사, 유통사, 배급사, 콘텐츠 IP 활용 기업(완구사, 제조사) 등
·추진일정: 4∼12월 프로그램별 상시모집(홈페이지 공고 참조)
.
1. 국제콘텐츠마켓 SPP(Seoul Promotion Plan) 2021 개최
·행사기간: 7월 12∼30일(추후 변동될 수 있음)
·행사장소: 온라인 개최(화상 상담장 - 서울파트너스하우스)
·참가대상: 애니 · 캐릭터 · 웹툰 · 게임 등 콘텐츠 분야 제작사, 투자사, 배급사 플랫폼 등
·프로그램: 비즈매칭, 아시아 애니메이션 얼라이언스(AAA, 쇼케이스&피칭), 글로벌 이그나이트(사업설명회&제작발표회) 등
.
2. 해외 마켓 · 수출상담회 참가지원
·참가마켓: 6월 안시 MIFA, 10월 SPP Focusing Group, 12월 ATF
·지원대상: 서울 소재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콘텐츠 관련 기업
.
<콘텐츠펀드 조성 및 운용>
.
·참여대상: 서울 소재 중소 애니메이션, 웹툰, 게임, 1인 미디어등 콘텐츠 기업(SBA 콘텐츠 투자 패스트트랙, 콘텐츠 제작지원 사업 참가 기업)
·펀드조성 사업공고: 4월
·펀드운용사 선정심사: 6월
·펀드 연계 추천: 4∼12월
※ 추진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1. 2021년도 콘텐츠펀드 조성사업
·출자규모: 총 10억 원 내외 출자(150억 원 이상 조성 목표)
·출자대상: 한국벤처투자조합,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출자조건: SBA 출자 규모의 2배수 이상을 서울 소재 기업이 제작하는 국산 창작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또는 초기 기획단계 콘텐츠에 투자
·존속기간: 최소 5년 이상(투자 기간 4년 이상)
·우대조건: SBA의 출자 규모 이상의 투자비율 제안, 연계 협력 방안 제시 등
.
2. SBA 콘텐츠펀드 연계 투자유치 지원
·지원내용: SBA 콘텐츠펀드 연계를 통한 프로젝트 · 기업 투자 가능 여부 검토, SPP 파트너스데이 연계 펀드 운용사와의 1:1 투자 컨설팅
지원
·추진절차: 사업공고 및 안내→투자제안서 접수 및 DB화→ SBA 펀드운용사 연계→투자 가능 여부 검토→ 투자 검토의견서 전달
.
.
.
·참여대상: 서울 소재 중소 애니메이션, 웹툰, 개인, 1인 미디어등 콘텐츠 기업, 투자사, 방송사, 유통사, 배급사, 콘텐츠 IP 활용 기업(완구사, 제조사) 등
·추진일정: 5∼11월(프로그램별 상시모집, 홈페이지 공고 참조)
1. 콘텐츠 투자 패스트트랙
·SBA 제작지원 연계: 제작지원 기업의 투자유치 기획 확대를 위한 단계별 컨설팅 지원
·투자 컨설팅: 재무적 · 전략적 투자자-기업간 매칭을 통한 투자 컨설팅
·SPP 파트너스데이: 콘텐츠기업 - 투자자간 네트워킹 장 마련
※ 콘텐츠 투자 패스트트랙 참여 시, SBA 출자 콘텐츠펀드 연계 추천
2. 콘텐츠 IP 사업화
·IP 특화 컨설팅: 분야별 전문위원의 IP 특화 컨설팅 및사업화 큐레이션, 솔루션 제공
·IP 비즈매칭: 다른 업종의 기업간 비즈매칭으로 신규 협업 상품화 촉진
·SI&빅 바이어: 전략적 투자자(SI) 및 빅 바이어와의 비즈니스 네트워킹 기회 제공
·뉴 포맷 상품화: 확장현실(XR), 인공지능(AI) 등 기술 결합으로 콘텐츠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 개발
3. SPP 포커싱 그룹(SPP Focusing Group)
·SPP 참가 바이어 연계 국내 개별 수출 상담 및 네트워킹 지원
·국가별 시장 분석 및 유망 시장 집중, 바이어의 사전 수요 파악
4. SPP 비즈매칭 플랫폼(www.spp.kr)
·전 비즈매칭 행사의 고객, 콘텐츠 DB(프로젝트, 투자제안서 등) 축적 및 관리
·해외 바이어 대상 콘텐츠 홍보 뉴스레터 송부 등 마케팅 지원
출처 : 월간 <아이러브캐릭터> 2021.4월호
<아이러브캐릭터 편집부> (master@ilovecharacter.com)
[저작권자ⓒ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