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B2B 기능 강화한 콘텐츠수출마케팅플랫폼 웰콘

장진구 기자 / 기사승인 : 2022-03-03 14:00:37
  • -
  • +
  • 인쇄
Special Report

K-콘텐츠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콘텐츠수출마케팅 플랫폼 웰콘(WelCon)에 온라인 B2B 거래를 활성화하는 마켓플레이스 기능이 추가됐다. 또 해외 36개국 , 8개 주요 콘텐츠 장르에 대한 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등 서비스가 더욱 고도화되면서 콘텐츠 수출을 위한 실질적인 온라인 비즈니스 환경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지난 2016년 잘 만든 한국 콘텐트(Well-made K-Content)란 의미를 담은 콘텐츠마케팅플랫폼 웰콘을 선보였다.

콘진원은 2020년 콘텐츠 수출허브란 슬로건을 내걸고 웰콘을 새롭게 개편 , 국내외 콘텐츠 관련 해외 마케터들이 산업 , 기업 , 지원사업 등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기업들이 수출 역량 수준을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자가진단 시스템도 구축해 맞춤형 심화 컨설팅을 진행했다.
또한 이용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인포그래픽 등으로 해외시장 동향 보고서를 만들어 콘텐츠 장르별로 해외진출에 필요한 각종 정보도 제공했다.
콘진원은 올 초 코로나19로 활성화된 비대면 비즈니스 방식에 대응하고자 기업들이 플랫폼에서 자사 상품을 전시하고 해외 바이어와 실시간으로 화상상담도 진행하며 교류할 수 있는 온라인 B2B 마켓플레이스 기능을 탑재해 웰콘을 더욱 고도화했다.

 

 

 

 

이에 따라 해외 바이어들도 웰콘의 검색 기능을 이용해 구매 또는 제휴를 희망하는 K-콘텐츠를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국내 기업들과 상담까지 진행할 수 있다.

콘진원 측은 “ 기업들은 마켓플레이스 내 K-콘텐츠 전시관에 개별 홍보 홈페이지를 만들어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외 바이어에게 자사의 콘텐츠를 직접 홍보해 비즈니스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 ” 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콘진원은 해외로 진출할 곳을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미국 , 중국 , 일본을 비롯한 주요 36개국의 시장 매력도를 분석한 장르별 콘텐츠 해외시장 동향분석 정보도 서비스한다.

기업들은 방송 , 게임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만화 , 음악 , 패션 , VR·AR 등 콘텐츠 8개 장르에 대해 국가별 각 장르 시장의 규모와 수출 매력도, 전년 대비 국가별 매력도 비교 , 해외시장 진출 시 유의·규제사항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콘진원 정경미 부원장은 “ 웰콘이 마켓플레이스 기능을 장착하면서 국내 기업들에게 해외진출을 위한 양질의 정보와 서비스를 망라해 제공할 수 있게 됐다 ” 며 “ 앞으로도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비즈니스 방식을 다변화해 K-콘텐츠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 ” 고 전했다.
마켓플레이스 입점 희망자는 웰콘 홈페이지나 콘진원 홈페이지에서 가입절차 등의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마켓플레이스에 유력 바이어 적극 유치 ”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사업지원단

박영일 부장

 

 

웰콘의 개편 배경과 지향점은? 웰콘이 그간 해외수출에 필요한 정보를 콘텐츠 기업에 제공해 왔지만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즈니스가 중요해짐에 따라 수출 마케팅을 보다 직접적으로 돕기 위해 플랫폼을 개편했다. 이번에 새로 도입된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국내 기업과 해외 바이어 간 상시 비즈니스 교류가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마켓플레이스는 기존 온라인 비즈매칭의 어떤 부분을 보완했나? 웰콘은 해외 마켓 및 견본시 , 행사참가 , 해외 바이어 정보 제공 등으로 기업들의 해외진출과 비즈니스를 간접적으로 지원했으며 온라인으로도 가능한 실질적인 비즈매칭 지원 기능은 없었다. 그래서 마켓플레이스는 K-콘텐츠 온라인 전시관과 화상회의와 채팅이 모두 가능한 비즈매칭 지원 기능을 탑재해 상시 온라인 비즈매칭이 가능토록 한 점이 큰 특징이다.

 

해외 바이어 정보를 공개한 배경과 선정 기준은? 해외 바이어 정보는 해외 마켓이나 행사에 참여해 국내 기업과 비즈매칭을 진행한 적이 있거나 관심을 보인 업체 및 담당자를 정리한 것으로 , 국가 및 장르별 바이어로 구분돼 있다. 바이어 정보는 회원 가입을 하지 않아도 검색으로 찾아볼 수 있다.


해외 바이어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그간의 노력과 향후 방안은? 웰콘에 마켓플레이스 기능이 장착되면서 앞으로의 과제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보다 많은 국내 기업들과 해외 바이어 간 온라인 비즈매칭이 가능하도록 웰콘 서비스를 더욱 널리 알리고 해외 바이어를 유치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플랫폼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해외 유통사업자나 투자자 등 유력 바이어들을 웰콘 마켓플레이스에 적극 유치해나갈 예정이다.
 

웰콘으로 기대하는 효과는? 웰콘 내 K-콘텐츠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 해외 바이어에게 기업들의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소개할 수 있고 해외 바이어와 상시로 소통할 수 있는 비즈매칭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크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보다 많은 바이어들과 소통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해 우수한 K-콘텐츠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러브캐릭터 / 장진구 기자 master@ilovecharacter.com

[저작권자ⓒ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